📍교육에서 배우는 핵심 흐름
1. AI모델 학습 기본 이해 AI가 이미지를 인식하고 분류하는 원리 / 데이터 품질이 성능에 미치는 영향
2. 데이터 수집 & 라벨링 실제 현장에서 불량, 정상품 이미지 촬영 / 품질 기준에 맞춰 라벨링 작업
3. 모델 학습 실습 AI학습 툴에 데이터 업로드 / 학습 진행 및 정확도 확인
4. 검수 성능 개선 오분류 사례 분석 / 추가데이터로 재학습 진행 / 최적 성능 달성 후 모델 저장
💻 현업적용 포인트
• 맞춤화 : 내 제품, 현장에 최적화된 AI모델 완성 • 정확성 : 검수 성능 향상으로 불량률 감소 • 효율성 : 검수 시간 단축 |
교육개요
교육대상 |
의류 제조 품질관리 담당자 / AI 봉제검수 시스템 운영자 / 품질 기준을 현장에 맞게 적용하려는 관리자 |
교육정원 | 과정별 15명 |
교육비 | 전액 무료 |
운영방식 | 오프라인 실습 중심 |
필수제출 | 재직을 증명할 수 있는 자료 제출 (명함, 재직증명서) |
준비물 |
개인 노트북 (노트북이 없으신 분은 담당자에게 요청하면 노트북 제공. 담당자 : 02-2135-9970 / 메일 : edu@atcamp.co.kr) |
ChatGPT Pro 결제 (월 20달러 상당) |
교육내용
과정 개요 및 목표 설정 |
· 오늘 배울 내용: “AI가 봉제 불량을 어떻게 배우고 판정하는지” · 교육 목표: 모델 학습 원리 이해 + 불량 판정 실습 |
AI모델 학습 개념 이해 |
· AI 학습을 “사람이 불량·정상품을 구분하는 훈련”에 비유 · 데이터(이미지) → 라벨(정상/불량) → 학습 → 판정 과정 · 너무 어려운 수학·코딩 설명은 생략
|
ChatGPT로 AI원리 설명 받기 |
· "AI가 불량을 어떻게 찾는지 쉽게 설명해줘" 프롬프트 실습 · AI 설명 내용을 그림과 표로 이해
|
AI봉제 검수 시스템 소개 |
· 카메라로 이미지 수집 → AI 분석 → 판정 출력 흐름 · 불량 예시(실밥 튀어나옴, 재봉선 비뚤어짐, 구김 등) 시각자료 |
실습① – AI 불량 판정 체험 |
· 제공된 이미지 파일을 AI 검수 시연 프로그램에 입력 · 정상/불량 판정 결과 확인 · ChatGPT로 “이 불량 원인 설명” 요청 |
참여 실습② – 간이모델 학습 체험 |
· 5장 정상 이미지, 5장 불량 이미지 업로드 · 프로그램이 ‘간이 학습’ 후 판정 정확도 확인 · 판정이 틀린 경우 ChatGPT로 이유 분석 요청 |
AI 판정 결과 해석 방법 및 현장 적용 |
· 결과표에서 정상·불량 비율 보기 · 불량 유형별 발생 빈도 파악 · ChatGPT로 개선 아이디어 받기 · 소규모 공정에도 적용가능한 AI검수 방식 / 불량률이 높은 공정 데이터만 선별 학습시키는 법 / 데이터 품질 관리 중요성 |
교육특징
수강후에는 이런 변화가 생겨요 |
· AI 검수 정확도 상승
|
수업 결과물 (산출물) | · 현장 맞춤형 AI 봉제 검수 모델 완 |
교육혜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