닫기
과정 구분
과정 카테고리
태그
검색어

캠프라운지

패션실무, AI로 더 빠르게 더 스마트하게 시리즈 - 기획자편 "아이이더가 막힐 틈이 없습니다"

  • 작성자최고관리자
  • 작성일2025.09.01
  • 조회수28
  • 신고하기

패션실무, AI로 더 빠르게 더 스마트하게 시리즈

 

기획자편 - "아이디어가 막힐 틈이 없습니다"

 

패션기업의 기획팀에서 일하는 여러분,

‘트렌드 리서치부터 시즌 기획안 작성까지’ 반복되는 루틴 속에서 창의력은 어디쯤 있을까요?

요즘 저희는 기획자분들과 함께, 생성형 AI를 ‘실무보조+아이디어 증폭기’로 활용하는 훈련을 하고 있습니다.

특히 ChatGPT, ImageFX, Veo, Google Whisk 네 가지 도구를 중심으로 기획자가 AI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실습해보고 있는데요,

실제로 현장에서도 “기획안 작업 속도가 3배 빨라졌다”는 피드백을 받을 정도입니다.

오늘은 그 노하우를 공유합니다!

 


1. ChatGPT – 기획의 ‘생각 뼈대’를 잡아주는 AI

기획 업무는 아이디어를 구조화하고 문서화하는 일의 연속입니다.

ChatGPT는 그 출발점을 잡는 데 정말 유용합니다.

💡 활용 예시:

  • 시즌 기획안의 구조 초안 뽑기

    → "2025 S/S 시즌을 위한 여성복 콘셉트 기획안 틀 만들어줘"

  • 트렌드 요약 문서 정리

    → "최근 3년간 모노톤 컬러 트렌드 변화 요약해줘"

  • 판매전략 회의 자료 초안 작성

    → "온라인몰 전용 단독 상품의 마케팅 방향 제안해줘"

 

✍️ 교육생 후기

“막연한 머릿속 생각을 말로 정리해주는 느낌이에요. 처음부터 ‘백지’로 쓰는 일이 줄었어요.”

 

2. ImageFX – 기획안에 들어갈 ‘무드 시안’은 이제 AI로

기획자는 디자이너와 마케터 사이에서 이미지 콘셉트를 전달하는 역할도 많이 하죠.

이때 ImageFX를 활용하면, 텍스트만으로도 고감도 이미지 시안을 만들어낼 수 있어요.

💡 활용 예시:

  • “에코레더 자켓과 슬랙스를 입은 50대 남성이 도심을 걷는 장면” → 비주얼 시안 완성
  • 컬러감, 소재감, 분위기를 조합한 키워드만 입력하면 감성적인 이미지가 척척

📌 활용 팁:

기획서에 들어갈 무드보드, 스타일 제안, 시즌 감성 시안 등에 적극 사용!


 

3. Veo – 영상 없는 기획서는 이제 설득력이 떨어집니다

이제 브랜드 기획에도 영상이 빠질 수 없습니다.

Google Veo는 글만 입력해도 콘셉트 영상을 자동으로 생성해줍니다.

💡 활용 예시:

  • 시즌 런칭 기획안에 들어갈 “감성 영상” 시안 제작
  • 제품 사용 시나리오 영상 초안
  • 마케팅 캠페인용 루프 영상 시뮬레이션

 결과물은 마치 영상 에이전시에 맡긴 것 같은 퀄리티.

영상 디자이너와 미리 콘셉트를 공유할 때 특히 유용합니다.


 

 마무리: 기획자는 '기획만' 해도 되는 시대

이제는 ‘자료 찾기 + 보고서 구조 짜기 + 시안 만들기’에 시간을 쏟는 게 아니라,

"어떻게 기획할 것인가"에만 집중할 수 있는 시대입니다.

AI는 기획자의 머릿속을 빠르게 꺼내주는 손이며, 기획의 설득력을 높여주는 도구입니다.


 

다음 편에서는 마케터 편을 소개할 예정입니다.

ChatGPT, Veo, ImageFX로 마케팅 콘텐츠를 3배 빠르게 만드는 방법이 궁금하신가요?

👉 계속 팔로우해 주세요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