닫기
과정 구분
과정 카테고리
태그
검색어

캠프라운지

사내 챗봇? 이젠 직접 만든다

  • 작성자최고관리자
  • 작성일2025.08.08
  • 조회수69
  • 신고하기

실제 기업이 사용자 정의 GPT로 실무 자동화한 사례들

 

GPTs, 즉 사용자 정의 GPT(Custom GPTs)는 ChatGPT 안에서 나만의 AI 비서를 만드는 기능입니다.

“대화형 인터페이스로 우리 회사 업무를 대신해주는 GPT를, 개발자 없이 직접 만들 수 있다면?

바로 그걸 가능하게 해주는 도구가 GPTs입니다.

 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 

GPTs의 핵심 기능 정리

 

  • 프롬프트 세팅

    → 반복되는 질문/업무를 자동화할 수 있도록 ‘대화 흐름’ 구성

  • 파일 업로드

    → 내부 문서(PDF, Excel 등)를 기반으로 챗봇이 실시간 응답

  • 지식베이스 구성

    → 회사 전용 Q&A / 가이드라인 / 매뉴얼 반영 가능

  • 톤앤매너 설정

    → 응답 스타일을 브랜드 말투/부드러운 톤 등으로 설정 가능

  • 챗봇 URL 공유

    → 외부 고객, 내부 직원 누구든 바로 사용 가능

 

 

실제 기업들이 GPTs를 이렇게 사용하고 있어요

 

1. 고객상담 GPT – 반려동물 쇼핑몰 A사

  • 문제: 반복되는 배송문의, 교환요청, 사료 추천 질문이 쏟아짐

  • 활용: GPTs에 FAQ와 교환정책, 제품 카탈로그 입력 → 고객센터 챗봇처럼 응답

  • 결과: 응대 속도 2배↑, 상담 인원 30% 절감

 


2. 보고서 초안 작성 GPT – 인테리어 B사

  • 문제: 매번 프로젝트 기획안/제안서 초안을 사람 손으로 작성

  • 활용: GPTs에 자주 쓰는 템플릿 & 키워드 입력 + 예시문장 학습 → 제목/목적/내용 구성을 자동 작성

  • 결과: 기획자 1명이 하루 2건 → 5건 작성 가능

 


3. 신입사원 교육 GPT – IT솔루션 C사

  • 문제: 입사 후 초반 적응 기간마다 같은 질문 반복

  • 활용: GPTs에 사내 매뉴얼, 조직도, 업무 프로세스 업로드 → “회사 소개 챗봇”처럼 활용

  • 결과: 교육 담당자 응대 시간 절감, 신입 만족도↑

 


4. 콘텐츠 검토 GPT – 유튜브 운영사 D사

  • 문제: 썸네일 문구/자막/카피를 매번 리뷰하고 수정하는 데 시간 소모

  • 활용: GPTs에 브랜드 스타일가이드 + 이전 콘텐츠 텍스트 업로드 → 문구 자동 제안 + 브랜드 톤 점검

  • 결과: 콘텐츠 승인 속도 향상, 브랜드 일관성 유지

 

 

한 줄 요약 :

 

GPTs는 문서 기반 지식 + 대화형 UI

=

챗봇화하는 가장 쉬운 방법이다